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80

신생아에게 나타나는 신체부위별 반사 신생아에게 나타나는 정상 반사행동은 신경계가 정상적으로 기능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만약 반사가 불완전하거나 나타나지 않는 경우는 중추 신경계의 손상을 나타냅니다. 제가 보건교사 임용고시를 볼 때, 설명하는 내용이 신생아에게 나타나는 반사 중 어떤 반사인지 적는 문제가 출제되었던 것이 기억이 납니다. 그러나 보건 임용고시를 준비하지 않아도, 부모로서 알아두면 좋을 내용이라고 생각됩니다. 아래에서 신체부위별로 나타나는 신생아 반사의 종류와 유도방법, 소실시기를 알려드리겠습니다. 눈 눈에서 나타나는 반사로 각막반사, 인형의 눈, 동공반사가 있습니다. 눈깜짝 혹은 각막반사(blinking or corneal)는 각막 쪽으로 물체나 밝은 빛을 갑자기 비추면 눈을 깜박이는 반사입니다. 일생동안 지속되는 반사입니다.. 2023. 1. 27.
신생아의 감각기능(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 아기가 태어나서 생후 한 달까지를 신생아라고 부릅니다. 출산 후에 아기를 보면 너무 작아서 신기하기도 하고, 인형 같다는 생각이 들었던 것 같습니다. 그래도 신생아는 나름대로 사람으로 살아갈 준비를 하고 세상에 나왔답니다. 신생아의 생리적 상태는 전반적으로 적절히 발달되어 있지만 아직은 미숙한 점도 많이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신생아의 감각기능은 잘 발달되어 있고, 애착과정과 같은 성장 및 발달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1. 시각 출생 당시에 눈의 구조는 불완전합니다. 모양체 근육(ciliary muscle)이 미숙하여 물체에 일정기간 집중하거나, 협응 하는 능력이 제한적입니다. 물체를 45˚~90˚ 내에서 움직일 때, 눈을 물체의 움직임에 따라 움직이거나 고정할 수 있습니다. 안구는 빛에 반응하고.. 2023. 1. 22.
놀이의 기능, 아동의 다양한 발달을 촉진하는 놀이 아이들은 놀면서 배우고, 성장하게 됩니다. 블록을 쌓으면서 수학적 개념을 배우고, 공놀이를 하며 신체발달이 이루어지고, 소꿉놀이를 통해 사회성을 기를 수 있습니다. 놀이를 통해 아동은 신체적, 지적 발달, 사회성, 창의성 발달, 인지, 정서 발달 등이 촉진되어 전인적인 성장을 이뤄가게 됩니다. 놀이가 신체, 사회성, 인지, 언어, 창의성, 정서 발달에 각각 어떤 영향을 주고, 어떤 관계에 있는지 아래에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신체 발달 아동이 놀이를 하기 위해서는 신체 발달이 기초가 됩니다. 특히 감각운동 기능이 모든 연령층의 놀이에 중요한 구성요소이며, 영아의 놀이에서 주로 발달됩니다. 활동적인 놀이는 근육 발달을 돕고, 감각운동 놀이는 세계를 탐색하는 힘을 길러줍니다. 영아는 시각, 청각, 촉.. 2023. 1. 21.
아동 발달과 놀이, 놀이의 분류 어렸을 때는 자연스럽게 잘 놀았던 것 같은데, 막상 자녀와 놀아주려고 하면 어색한 느낌이 들기도 합니다. 발달에 따라 어떤 놀이를 해주는 게 좋을지 고민하고 계시는 분들에게 이 글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아동의 놀이는 아동발달적 관점에서 내용을 기준으로 나누거나, 사회적 특성에 따라 분류할 수 있습니다. 아이들은 아무도 가르쳐주지 않는 것을 놀이를 통해 배울 수 있습니다. 놀이를 하면서 아이들이 속해있는 세계에 대해 배우고, 주어진 환경에서 대상물, 시간과 공간 및 구조, 사람을 다루는 방법을 배우게 됩니다. 또한 자신이 무엇을 할 수 있고, 사물과 상황이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 사회의 요구에는 어떻게 적응하는가에 대해서도 배울 수 있습니다. 아동에게는 놀이가 중요한 일입니다. 생활하고, 의사소.. 2023. 1. 21.
반응형